Correlation between the Intake and Driving Part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Original Food Processor for Machine-cleaning of Field Crops

Research
Jin-Hyeok Yoon1Deog-Hyun Lee1Jun-Hyeon Lee1Hyeon-Tae Kim1*

Abstract

Korean agriculture is now in crisis. According to the 2007 agricultural economic statistics, household income increased only 39% compared to 10 years ago, but decreased by 1%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e average farmer's debt rose 140% from a decade ago to 2,946,000 won, up 16% from a year earlier. At the point where rural society is moving from an aging society to a super-aged society, we can see that most people are old in rural areas and our society is now moving toward a society of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and working hours. However, the mechanization rate of farming machines in Korea is approaching 80%, but the mechanization rate of farming machines in fields such as farming machines during the regular period is less than 50%.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sowing and farming machine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farming households from seven million in 1990 more than halved to three million in 2006. Experts predict that the number of people under the age of 40 has decreased from 35% in 1970 to 3.5% in 2003. At this rate, it will be under 1% in 2030. As an alternative to this crisis, we thought it was essential to develop Korean agriculture by researching and developing machines that reduce the labor force a little bit and improve the machine's time optimization and efficiency.

Keyword



Introduction

농촌사회가 고령화 사회에서 초 고령화 사회로 진행되어가는 시점에 농촌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사회는 첨단과학기술화시대와 노동시간 단축의 사회로 넘어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Heo et al., 2016). 우리나라 논 농업기계 기계화율은 `18년기준 98.4%로 가깝게 되어가고 있지만 정식기의 농업기계와 같은 밭 농업기계화율은 `18년기준 60.2% 안되는 기계화율을 보이고 있다.(STATISTICS KOREA, 2020). 특히 파종, 농업기계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는 추세이다.

농업현장에서 육묘 및 정식을 위해 72구, 108구, 129구 등 여러 종류의 폴리프로필렌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은 대표적인 난분해성 물질로써 환경오염의 주 원인이 되며, 폴리프로필렌 포트는 재사용이 어렵고 사용 후 농지 주위에 버려지거나 방치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을 개선하고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생분해성 포트 정식기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우리나라에서 실용화된 정식기와 다르게 포트와 작물을 한번에 정식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새롭게 개발된 정식기이기에 정식 방법, 정식 속도 등 기초자료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Lee et al., 2017).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전방 식부장치 지름에 따른 주행부, 취출부 상관관계, 취출부의 버프 유무에 따른 절삭속도와의 관계 등을 실험을 통해 구명하고 이를 통해 정식기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하였다.

Materials and Methods

생분해성 포트용 정식기는 Fig. 1과 같이 취출부, 주행부, 식부장치로 나누어져 있으며 수평 절삭형태의 취출 장치가 생분해성 포트를 절삭하면 레일을 통해 이동하며 포트가 수직 낙하하여 정식이 되는 방식이다. 대차크기는 폭 850 mm, 길이 1430 mm이다. 구동방식은 체인 구동 방식이며. 동력 모터는 DC Motor 24 V, 300 W을 사용하였다. 차량속도는 0~19 m/min의 속력을 낼 수 있으며 주간 거리는 15~30 cm 로 조절 가능하다. 대차 하단 앞부분의 설치된 전방 식부장치는 Fig. 2와 같이 지면과 맞닿아 있는 곳의 홈을 파서 식물을 이식하기 좋은 상태로 만들어주는 장치이며 대차의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되기 때문에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으며 작물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홀을 팔 수 있는 돌출부를 탈착과 부착할 수 있다(Bae et al., 2010). Fig. 3과 같이 15~ 20 cm의 작물 주간거리를 고려하기 위해 정식기의 주행속도가 0.6 m/s의 속력을 내었을 때 1초에 60 cm를 움직이고 1초에 15 cm를 4번의 구덩이를 파는 작업을 하도록 장치를 설계·제작 하였다. 대차 상단에 설치된 취출 장치는 Fig. 4와 같이 생분해성 포트가 레일을 통해 적정 위치에 도달하면 원형칼날을 이용한 취출장치가 좌·우 횡운동을 하면서 포트의 끝부분을 절삭하게 되고 그와 동시에 절삭된 포트가 아래로 자유 낙하하며 작물이 정식이 된다(Kumar and Raheman, 2011).

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Figure_PASTJ_20-002_F1.png
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Figure_PASTJ_20-002_F2.png

Fig. 2. Forward planting device.

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Figure_PASTJ_20-002_F3.png

Fig. 3. Daytime distance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forward food processor.

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Figure_PASTJ_20-002_F4.png

Fig. 4. Cutting devices and Transport rails.

전방 식부장치 크기에 따른 작동 시간 측정

생분해성 포트용 정식기를 구동하여 일정한 속도로 전진하였을 때 전방 식부장치의 크기에 따른 홈을 파는 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작물포트가 정식되는 시간을 비교 분석하였다.

취출부의 버프 유무에 따른 절삭속도 측정

정식 시간을 조절 할 수 있는 버프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버프의 유무에 따른 취출부의 절삭속도시간을 측정하였다.

작물 포트의 높이에 따른 정식 시간 측정

정식기 작동하여 6 m 동안 전방식부장치를 이용하여 홀을 만들었으며 이 홀을 이용하여 자를 이용 75 cm 높이부터 5 cm를 기준으로 높이를 낮추어 작물 포트에 낙하시간을 측정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전방 식부장치 크기에 따른 주행부, 취출부 상관관계

Table 1과 같이 식부장치의 넓이에 따른 식부장치의 홈을 파는 속도의 시간값은 변하지만 작물포트가 정식되는 시간의 값은 고정되어 있으므로 두 사이의 관계는 독립적이라고 판단된다.

Table 1. Relationship between the front equipments and the cuting speed of the receving section.      (Unit:cm,s)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Table_PASTJ_20-002_T1.png

전방 식부장치 크기에 따른 취출부 절삭속도의 상관관계

Table 2와 같이 취출부의 절삭속도는 전방 식부장치의 크기에 따른 식부 시간과 상관관계가 없는 독립적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전방식부장치의 홈을 파는 시간, 작물포트가 정식되는 시간, 취출부의 절삭 속도는 일정한 결과값을 가졌으며, 이에 따라 두 값은 독립적이라고 판단된다.

Table 2.The resultant value of the cutting speed between the front corrosion protection system and the cutting speed city of the extraction point after the experiment.http://dam.zipot.com:8080/sites/pastj/images/PASTJ_20-002_image/Table_PASTJ_20-002_T2.png

전방 식부장치 크기에 따른 버퍼의 상관관계

전방 식부장치의 넓이에 따른 식부 홈파는 속도시간 결과 값과 주행부 작물포트를 잡아주는 버프대기 시간과의 결과 값으로 상관관계를 정리하였다. 즉 식부장치의 원주를 X라고 가정하고 버프의 대기시간을 Z라고 가정했을 때 원주 X의 값이 증가하면 식부장치의 작용으로 만들어진 구멍의 크기가 커지면서 그만큼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버프의 식물포트를 잡아주는 대기 시간인 Z는 값이 작아지는 반비례 관계임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Conclusion

본 실험은 취출부터 시작하여 정식까지 이루는 시간을 1초를 목표로 전방 식부장치의 크기에 따른 식부 홈파는 속도, 취출부 절삭속도, 작물포트가 떨어지는 자유낙하시간 사이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작물 포트의 절삭시간이 변화가 없었으므로 전방 식부장치의 작동 시간, 작물 포트의 이식시간이 서로 독립적인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높이에 따라 이식 시간과 정식율에 차이가 컸으므로 버퍼를 사용하여 미리 작물포트를 잡아주고 이식한다면 작업 능률이 크게 오를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림축산식품연구센터지원사업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716001-7).

References

1  Bae JH, Lee SU, Choi JH, Kang NH, Kim HC, Eun JS. 2010. Effects of kind of pot for raising of seedling and planting method on growth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of watermelon under plastic film house.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19(2):82-87.  

2  Heo MH, Kim TH, Kim HT. 2016. Analysis of transplanter trajectory performance improvement.Proceedings of the KSAM & ARC 2017 Autumn conference 21(2):97-97.  

3  Lee MH, Kim HT, Jo JM, Moon BE, Choi TH. 2017. Development of Automatic Type Transplanter for biodegradable seedling pot.Proceedings of the KSAM & ARC 2017 Autumn conference 22(2):136.  

4  STATISTICS KOREA. 2020. Agricultural mechanization status Assessed in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88 on 29 March 2020.  

5  Kumar GVP, Raheman H. 2011. Development of a walk-behind type hand tractor powered vegetable transplanter for paper pot seedlings.